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맷리입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평화협상안 초안을 전달했다고 하는데요.
러시아 정치인, 외교관 그리고 현재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입장을 대변하는
크렘린궁 대변인이기도 한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20일(현지시각) 발표합니다.
명확한 제안이 담긴 협상안을 우크라이나에 전달했다. 우리의 초안은 우크라이나 측에 넘겨졌고 여기에는 절대적으로 분명한 요점이 포함돼 있다. 공은 우크라이나 측에 넘어갔고 우리는 답을 기다리고 있다.
이 협상안이 발표되기 약 3주 전이었죠.
3월 29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열린 5차 평화협상에서 우크라이나가 협상안을 제시했었습니다.
자국의 안보가 보장된다면 러시아가 요구한 중립국화를 받아들이겠다.
2014년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를 무력 탈환하지 않기로 하고 향후 15년간 이 지역 지위를 두고 협의하자.
그리고 약 3주 만에 러시아가 이번 입장을 밝힌 거고요.
원래 4월 초에 논의가 예정되어있었는데
러시아군이 수도 키이우 인근 지역인 부차를 탈환하는 과정에서
민간인 학살 등의 전쟁범죄를 저지른 부분에 대해
우크라이나가 문제를 삼게 되며 논의가 중단되었죠.
과연 이번 협상안으로 앞으로 어떻게 될지 계속 지켜봐야 되는 부분이겠죠.
러시아는 전쟁을 선포하고 나서 미국 우방부에서는 러시아에게 경제 제재를 가하고 있는 중이죠.
달러도 막혔고 무역도 막혀서 러시아가 엄청난 위험에 처할 거라는 게 모두의 예상이었죠.
그런데 이런 여론과 반대로 현재 러시아는 경제적으로 굉장히 건강하다는 얘기도 있네요.
1분기 경상수지 사상 최대 흑자, 무려 580억달러를 기록했다고 하는데요.
한화로 약 60조 원이 되겠네요.
경제 침체가 아닌 현재 자본이 넘치고 있는 상황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러시아는 전쟁이 길어져도 손해 볼 게 없는 입장이 되는 게 아닐까 합니다.
반대로 우크라이나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유럽과 미국은 손해를 보겠네요.
이제는 우크라이나가 불리한 조건으로 협상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게 아닐까 싶네요.
과거 2014년에는 러시아가 불리하고 서방국이 유리했기 때문에
지속적인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지금은 러시아가 유리하고 서방국이 불리해졌기 때문에
더 이상 러시아를 조이기가 어렵게 되었네요.
또한 현재 중국도 미국과 계속해서 경제적 대치를 하고 있는 상태인데
러시아로 흐름이 좋아지는 것을 보며 굉장히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최근 뉴스에서도 러시아와 전략적 협력 강화하겠다고 발표도 했었습니다.
그래도 러시아가 절대 타격이 없다는 건 아니니까요.
제재가 계속되면 효과가 없을 순 없으니까요.
섣부른 판단은 금물입니다.
계속 지켜봐야 할 거 같습니다.
과연 이 전쟁이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정말 궁금합니다.
얼른 종결이 나야할 텐데요.
반응형
'일상 > 이슈,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다음주부터 실외 마스크 해제 (48) | 2022.04.29 |
---|---|
러시아 브랸스크 석유 저장고 대형 폭발 화재 (39) | 2022.04.25 |
이제는 가족번호로도 온다 [보이스피싱] (41) | 2022.04.14 |
UFC 정찬성vs볼카노프스키 후기 (12) | 2022.04.10 |
존박 일반인 여성과 결혼발표 (16) | 2022.04.08 |
댓글